본문 바로가기

김무경3

1부 3장, 교육에 대한 외부서술 2000년, OECD 국가를 대상으로 한 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PISA)에서 대한민국은 핀란드에 이어 당당히 2위를 차지했다. 2009년, 흑인 최초로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오바마는 취임 후 미국의 21세기 교육정책 구상을 제시하는 인터뷰에서 한국의 교육 사례를 두 차례나 언급했다. 입시를 준비하는 고등학생 중 가장 우수한 학생들이 교대와 사범대로 진학해 그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인재들이 임용고시라는 시험을 뚫고 교사가 된다. 대한민국의 학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을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할 정도로 헌신적이다. 그리고, 그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 지금 이 시간에도 대한민국의 학생들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학교와 학원에서 오로지 공부에만 몰두하고 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 교육은 안녕한가? 불행하게도 대한.. 2019. 3. 24.
전문성의 밥그릇... 전문가들의 밥그릇 지키기에 시민들은 대체로 무지하거나 무관심하다. 만약 시민이 상식에 기초해 전문성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면 대부분의 전문가는 잘 알지도 못하면서 함부로 이야기하지 말라며 선을 긋는다. 그 전문성의 분야가 ‘교육’이든, 정치든, 경제든… “교육체계의 자기서술, 즉 교육의 성찰이론인 교육학에게 교육은 ‘모든’ 것이다. 교육의 오로지 교육의 관점에서, 경제는 오로지 시장의 관점, 정치는 오로지 정치의 관점에서 다른 체계(전문성?)들을 살핀다. 예컨대 정치 체계가 ‘민주시민을 충분히 양성하지 못했다.’고, 경제 체계가 ‘기업이 요구하는 소양을 충분히 양성하지 못했다.’고 교육을 비난할 때 교육 체계의 답변은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교육은 비교육적 잣대로 교육을 재단하지 말라고 요구한다(전상진•김.. 2018. 9. 6.
전문직을 중심으로 한 '자격'과 '내용' 논쟁 예전부터 전문직을 둘러싼 '자격'과 '내용'에 관한 글을 쓰고 싶었는데, 마침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사서직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설문 의뢰가 들어와 그 답변으로 쓴 내용을 여기에 옮... 겨도 될까? 1. 사서는 전문직이라고 생각하십니까?인류의 경험과 연구 결과를 종이에 기록해 동시대의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 후대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가 인류의 역사시대를 열었습니다. 산업자본주의로 인해 사회가 복잡해지고, 생산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지면서 그러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류할 수 있는 전문영역이 필요해졌습니다. 그것이 바로 ‘사서’의 역할이고,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사서를 전문직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문직은 전문가(professional)와 기술자(engineer)로 분류할 수 있습.. 2017.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