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대교육의 종말2

1부 2장, 사회문제로서의 교육 교육문제가 한국의 대표적인 사회문제 중 하나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범죄, 자살, 성 평등, 세대, 환경문제 등 수없이 다양한 사회문제 중에서도 특히 교육문제를 심각하게 여기는 이유는 첫째, 당면한 삶과의 밀접한 연관성, 둘째, 교육이 가지고 있는 영향력, 셋째, 한국사회가 오랫동안 교육에 바라온 특별한 기대 때문이다. 첫째, 가장 일반적인 사회문제인 범죄의 피해는 필연보다는 우연의 결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심각성을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기는 쉽지 않다. 자살 또한 한국사회를 대표하는 사회문제지만, 그 심각성은 피해의 범위보다는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 자체가 가지는 심리적 충격에 있다. 성 평등, 세대, 환경문제 등은 그 문제를 바라보는 입장이나 관점에 따라 다분히 .. 2019. 3. 3.
교육과 언론의 공통점(※ 주의 교사와 기자의 공통점 아님)... 집단의 문제를 쉽게 개인과 일체시키는 사람들이 있다. 난 개인이 집단이라는 사회적 관계 속에 존재하는 구조의 피조물이기는 하나, 집단의 문제가 곧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개개인의 문제는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다. 오히려 우리는 집단의 문제와 책임을 개인과 분리하는데 더 익숙하다. 박근혜를 대통령으로 뽑은 집단인 국민과 나를 일체화시켜 자신의 문제라고 반성하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있을까?개인과 집단의 일체감은 집단이 가지고 있는 권위에 비례한다. 집단이 가지고 있는 권위가 강할수록 그 집단에 속한 개개인은 집단의 권위가 곧 자신의 권위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대한민국의 최상층에 존재하고 있는 검사집단이다. 오죽하면 ‘검사동일체’라고 했을까! 만약 자신이 속한 집단이 외부.. 2019. 1. 17.